• 최종편집 2024-11-27(수)
 

13396_24135_3911.jpg

제103주년을 맞는 삼일절이다.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했던 민족 절망의 시기에 우리 민족의 자주민임과 독립국임을 선포한 것이 “독립선언서”이다. 이는 그동안 겪어 보지 못했던 국가의 독립에 대한 기대의 벅찬 감격이었다. 이것은 역사에 길이 남을 사건이다. 또 이 삼일독립만세운동에는 우리 기독교가 중심역할을 감당하였고, 한국교회가 민족과 함께 하는 자랑스런 교회임을 잘 드러내었다.

 

삼일운동은 갑자기 일어난 것이 아니다. 일제는 1905년 한·일 협약 후 우리 토지를 강탈하기 위하여 토지조사에 착수하였다. 그리고 1910년 한·일 강제 병합 후에 토지조사국을 설치하고, 1912년 국유림과 확증 없는 사유지를 국유화하여 토지 침탈 계획을 착착 진행하였다. 그리고 1918년 이를 완료하였다. 이때 이미 일본인들 33만 명 이상이 조선에 들어와 정착하였으나, 조선인들은 토지를 잃고 24만 명 이상이 화전민 신세가 되고, 일부는 생계를 위해 만주로 간도로 떠나게 되었다.


뿐만이 아니라 일제는 1913년 의료 선교사들의 조선에서의 활동을 제재하는 법규를 개정하고, 1915년 모든 종교를 자신들 정권의 통제하에 두는 신규 법규를 만들었다. 그리고 학교에서의 종교교육을 금지하고, 일본어 학습을 의무화하는 등 노골적인 식민지 정책을 폈다.


그런 상황에서 1918년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자결주의”가 선포되고, 1919년 1월 고종황제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하였다. 또 2월 8일에는 동경에서 유학생 600여 명이 모여 독립선언서를 낭독하였다.


이런 것들이 발단이 되고, 1919년 고종황제 국장(國葬) 이틀 전인 3월 1일 거국적인 만세운동을 촉발케 된다. 민족 대표 33인이 서명한 “독립선언서”가 태화관에서 낭독되고, 본격적인 만세운동이 시작된 것이다. 이때 시위 참가자는 연인원 200만 명을 넘었으며, 전국에서 만세 사건도 1,500건이 넘는다.


평화적 만세운동이었음에도 사상자들이 많이 발생하였다. 3월 1일부터 5월 30일까지 사망자 7,509명, 부상자 45,562명, 체포 49,811명이 있었으며, 민가 715채와 교회 47개소가 파괴되거나 소실되었다. 이 독립만세운동에는 신분과 직업, 종교 간에 차이를 두지 않았고, 한마음으로 민족 공동체적 외침을 분출한 것이다.


이는 역사의 큰 획을 그은 사건으로 이를 통하여 조선의 독립 의지를 세계 만방에 알린 것이 되었다. 다음 해에는 상해에 임시정부가 수립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일본의 무단(武斷)정치가 문화(文化)정치로 바뀌는 계기가 되었으며, 특히 민족과 함께 한 기독교는 놀라운 성장을 가져오게 된다. 이후 기독교는 복음, 교육, 의료, 문서, 선교사업의 확대를 가져온다.


그러나 그 이후에 러시아의 공산혁명에 영향을 받아 공산주의의 대두와 이단들이 발흥하는 모습도 나타난다. 특히 공산주의 사상은 해방 후에 심각한 사회적 갈등의 요인이 된다.


우리는 이런 삼일독립만세의 자랑스런 역사를 통하여 100여 년 전에 독립 의지를 불태우므로 오늘의 대한민국이 있게 되었는데, 현재의 자유 대한민국은 위태롭다.


사상과 이데올로기의 포로가 되고 권력층은 다시 조선의 봉건시대의 계급사회로 돌아가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런 것들로부터 새롭게 독립의 기치를 들어야 하지 않을까? 왜냐하면 과거로 돌아가서는 안 되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는 현재 심각한 ‘편가르기’에 시달리고 있다. 여기에 연료처럼 공급되는 것은, 자유민주주의와 법치주의를 부정하는 오도된 이념과 이데올로기이다. 우리 사회는 상당 부분 편향된 이런 사상에 물들어 국가의 장래를 어둡게 하는 일들이 속출하고 있다.


공정과 공의가 사라지고 정의도 힘을 잃고 있다. 권력과 힘을 가진 자들이 정의를 대체하고 있다. 법을 만들고 그 법을 집행하는 사람들에게서도 법의 가치는 무시되기 십상이다. 심지어 헌법을 뛰어넘는 오용된 권력도 남발하고 있다. 자유민주주의의 함의(含意)인 배려나 대화, 타협이나 이해도 연목구어(緣木求魚)와 같다.


우리 사회는 언제부터인가 ‘자유’를 말하면 꼴통 보수이고, ‘자유’를 빼면 넉넉한 진보라고 생각하는 이상한 기류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런 것은 헌법을 고치려는 시도에서도 나타났었다. 진보를 추구하는 사람들의 장점인, 도덕성과 책임성과 청렴성도 찾아보기 어렵다.


우리 대한민국의 정체성은 분명히 ‘자유민주주의’이다. 자유가 빠진 민주주의의 방향은 왜곡될 수 있다. ‘민주주의’가 모두 같은 민주주의가 아니라는 것은 많이 알려진 사실이다.


우리 기독교는 103년 전에 가장 많은 참여와 희생을 치르면서 나라의 독립을 위해 거리에서 장터에서 교회에서 목청껏 외쳤었다. 그 희생은 결코 헛되지 않아 독립의 밑거름이 되었고, 다시 오늘의 자유민주주의 대한민국을 일궈낸 것이다. 그러니 아무것이라도 괜찮다는 생각은 교정해야 한다.


이제도 독립적 의지는 재연되어야 하는데 그 대상이 일제가 아닌, 오염된 민주주의 사상과 오도된 사회주의 정치 이념으로부터의 탈피가 아닌가! 그래야만 독립된 자유 대한민국을 지킬 수 있기 때문이다.

태그

BEST 뉴스

전체댓글 0

  • 12198
비밀번호 :
메일보내기닫기
기사제목
다시 생각하는 삼일절 ... 봉건주의와 계급사회, 이념의 노예가 되려는가
보내는 분 이메일
받는 분 이메일